Notice

Archiv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자 목차부터 다시 써놓고. 쓰고싶은 것부터 써야지 순서 지키려단 못쓴다.


1) For profit Vs Non Profit

2) Big corporate's CSR Vs. Social Entrepreneurship

3) 그래서 나는 어디에: What can I do here and what do I really want to do? 

4.) Black People  흑인들도 전혀 어렵지 않다. 내가 얼마나 여행을 다녔는가에 대한 고찰.

5) 배낭여행자 근성. MBA 학생스러운 여행은 나는 여전히 송구스럽다.

6) Made in China

7) 회사별 단상. 그리고 모바일 머니

8) Rwanda 정부주도 모델과 Kenya Entrepreneurship Culture: What is better? What makes the cultural difference? What forms a strong government?

9)  English as an official language: Benefits and costs

10) 한국의 위상





8번 르완다 얘기부터. (그냥 쓰고 싶어서.)


르완다를 다녀왔다 하면 많은 사람들이 놀란다. 위험하지 않느냐고. 르완다 하면 호텔르완다, 르완다대학살 정도가 떠오르기 때문이리라. 벨기에의 식민지시절 벨기에 정권에서 소수종족 Tutsi에게 집권을 맡기면서 다수 종족 Hutu와의 종족간갈등이 심해졌고, 결국 1994년 100일간 지속된 3차 내전기간 동안 50~100만(추정)의 Tutsi와 평화를 주장하던 온건파 Hutu 가 대량 학살당했다. 전국민의 20%정도. (국민수 400만) 나찌의 유태민학살, 캄보디아 킬링필드, 중국의 문화대혁명, 대량학살은 많이 보아왔지만 르완다 내전은 그 중에서도 가장 끔찍하게 느껴진다. 1) 종족간의 내전이라 몇십년 같이 살아온 이웃을 죽이기 기작했다. 2) 학살 수단이 칼, 낫, whatever 라서 그 잔해가 처참하다. 총으로 쏴달라고 사정하는 생존자 이야기가 널렸다. 3) 그 폭력성이 상상을 초월한다.

얼마나 처참했는지 보여주는 것도 아프리카를 후진국으로 취급하게 되는 일종의 미디어 폭력이라는 수잔 손탁의 <타인의 고통>글이 생각나서 여기에 사진을 올리지는 않고 링크만 몇개. 어차피 내가 얘기하고 싶은 논점은 아니다.


수잔손탁, 타인의 고통. http://erkenntnis.tistory.com/11  http://miniw.tistory.com/113 

생존자의 글 두개. 충격적이고, 슬프다. 

http://www.kigalimemorialcentre.org/old/survivors/valentine.html

http://www.kigalimemorialcentre.org/old/survivors/anne-marie.html







그러나 그보다 놀라운건 내전을 끝내고 놀라운 경제발전을 일으킨 Paul Kagame (크가메) 의 지도력.

르완다는 현재 아프리카의 싱가폴로 비유된다.인구수도 딱 싱가폴만하고, 작은 나라인데 깨끗하고 아름답다. 강력한 정부가 국민의 존경을 받으면서 경제발전을 이루어냈고, 이루고 있다. 아프리카 전체에서 유일하게 뇌물이 필요없고 (경찰에게 뇌물주면 바로 잡혀간다고) 국민들이 정말로 횡단보도에서 길을 건너며, 푸르른 도시 Kigali(수도)에서는 좋은 향기가 난다. 정말 싱가폴에 온거 같다. 리콴유 같은 카리스마 가득한 지도자가 있고, 매달 둘째주 토요일에는 전국민 다같이 마을 청소 새마을 운동을 한다. -_-

1994년 내전 직후 시체들이 가득하고, 길거리 개들이 사람 시체 먹는데 익숙해져 사람을 공격하던 도시라는 걸 믿을 수 없다. 

지금의 키갈리는 딱 아래 사진 같은 느낌.









그에비해 케냐는 지저분하고, 시끄럽고, 다닥다닥 못사는 사람들이 온 길거리에 나와있고, 트래픽 잼은 엄청 심하고, (차가 많다기보단 도로사정이 안좋은 이유가 크다) 비지니스 세계에서는 서바이벌과 치열한 경쟁이 느껴진다. 케냐의 인당 GDP ($882) 가 르완다($585)보다 훨씬 높은데도 겉모습은 르완다가 훨씬 정돈되어있고, 아름답다.

아래사진이 내게 케냐의 나이로비같은 느낌. 

르완다는 정부기관 근처이고 나이로비 사진은 슬럼근처란걸 고려했을때 좀 불공평한 비교지만 두나라에 대한 내 인상.






하지만 케냐는 정말 entrepreneurial했다.  Inspiring 한 Founder는 어찌나 강렬한지. 실리콘밸리의 잘나가는 Founder 저리가라이다.똑똑한 현지 흑인사업가를 기대하지 않았던 나의 선입견은  정말 창피하게도 그리고 기쁘게도 산산히 부서졌다.  빠른 말투로 비지니스 대화를 쏟아붓는 Kenny 는 전형적인 성공적 실리콘 밸리 Entrepreneur 상이다. 케냐의 비지니스 월드는 Private Business 위주로, 정부를 사사삭 피해가며 '서바이벌' 하는 determined 된 비지니스맨들의 세상이다. 삼성상회니 현대 토건사가 곧이라도 시작될 분위기랄까. 날까롭고 명석하고 굉장히 현실적인 비지니스 맨들.


그에 비해 르완다는 정부주도 모델이고, 국민들도 훨씬 많이 웃고 편안한 분위기이다. 

일례를 들어, 케냐는 공립학교가 전혀 제 기능을 못하고 있기 때문에 80%가 사립학교이고, 부모는 형제중에 공부할 애를 "찍어서" 공부시킨다. 매학년별로 진급하기 위한 시험을 국가에서 치르는데(초등학교 1학년부터) 몇점을 못넘으면 다음학년으로 진급이 안되고, 이런 '국가시험'이 있기때문에 전에 언급한 Bridge 가 더 좋은 교육 퀄리티를 제공한다는 걸 확인할 수도 잇다. 경쟁적이고, 똑똑한 애들이 성장하는 장면을 쉽게 상상할 수도 있다. 


그에 비해 르완다는 12학년까지(고등학교까지) 국가가 책임진다. 공립학교 보급율이 80%가 넘는다. 아니 어떻게 르완다가 더 가난한 나라인데 어떻게 그게 가능해, 라고 했는데 국가 재정에 비리가 없고, 르완다로 후원을 하면 돈이 샐 일이 없다는 걸 알기때문에 전세계 원조금이 모이는 경향도 있다. 그래도, 1994년 내전 직후만 해도 국가재정의 100%가 국제발전기금 원조였는데 지금은 50%를 세금으로 충당한다고 하니 대단하다 싶다.


운좋게도 케냐(Prime Minister, 수상)과 르완다 정부(Rwandan Development Bank) 모두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엄청나게 대조적이었다. 케냐의 경제 발전계획에는 [적어도 발표한 바에 따르면] 실체가 없고 두리뭉실한 그래서 잘하겠다라는 선언만 있는 반면 르완다는 Prioritization을 명확히 한 Plan 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경제정책이란 Prioritization 이다. 무엇을 지금 할 것이고 무엇을 나중에 할것인가를 결정하고 Action Plan을 세우는 건데 케냐수상은  무슨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고, 질문이 머든간에 자기 하고 싶은 얘기만 하고 있었다. 속이 터져서, 어휴 이러니까 나라가 이모양이지 라고 한참을 흥분해서 욕했는데 르완다의 젊은 장관들은 질문을 하면 Manufacturing 을 우리가 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또박또박 반박한다. 약간 감동.


르완다 정부와의 대화중에, 끊임없이 떠오르는 질문은, What makes this strong government? 였다. 르완다의 폴 크가메 리더쉽이야 오기전에 많이 공부하고 대단하다고 생각하지만 와서 느낀건 대통령의 차이가 아니라 정부의 분위기 자체가 다르다. 르완다 정부는 직원 한명한명과의 대화가 짜릿하다. 케냐의 Entrepreneur 들과 이야기하는 기분이다. 너무 똑똑해서 가슴이 두근거린다.-_-  '무엇이 너같은 인재를 정부를 위해 일하게 만들었느냐' 라고 질문을 계속했다. 

르완다 정부 공무원들은 대부분 젊다. 94년에 모조리 학살 당하고 남은 사람들은 그나마 해외로 도망갔으니 당연할 수 밖에 없다. 94년이후 10년간 제대로 된 교육시스템은 부재했다고 봐도 무방하고, 따라서 지금 장관직을 하고 있는 30애들은 모두 해외교육을 받고 조국으로 '돌아온' 세대. 무엇이 그들을 돌아오게 만들었을까.

폴크가메의 리더쉽은 상상을 초월한다. 겨우 18년전, 엉망진창 시체 폐기장이 된 르완다를 모두 떠난 마당에 '종족' 개념은 없애버리고 '르완다 국민'이라는 정체성을 만들어냈다. 희망을 만들어내고, 르완다 내전을 외면했다는 죄책감이 있는 국제기구들에서 돈을 따와 국가 발전을 시작했다. 

내가 이글이 소름끼쳤던 이유는 http://www.ddanzi.com/blog/archives/80385 그래서 경상도는 안돼 경상도도 벌좀 받아야해라는 마음가짐. 지역감정을 없애기도 이렇게 힘든데, (지역주의 타파 의지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크가메는 그 뿌리깊은 종족개념을 지워버렸다. 투치족 독립군 출신인 크가메가 전쟁 직후 (처참하게 학살당했던) 투치족으로 구성된 내각을 구성하고 '복수' 의 정치를 하는 것이 당연해보였고, 쉬운 길이었다. 그러나 그는 후투족을 적극 등용해서 일부러 내각을 섞었고, 종족에 대해 언급을 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고, 생존자와 살인자가 같이 사는 마을을 만들고, 엄격한 자기 절제를 하고 정부 부패를 완전히 없애서 국가에 대한 믿음을 국민에게 심어줬다. 대단하다고 밖에 말할 수 없다. 정부로 돌아온 젊은 관료들은 1) 크가메가 젊은 인재들에 감사하고 적극 등용한다. 적극적으로 스카우팅을 하고, 내 탈렌트에 감사한다 2) 현재 정부와 리더쉽 밑에서는 변화를 만들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 3) 실제 변화를 만들수 있는 르완다 에서 일하는게 EU, World Bank같은 관료적 조직에서 일하는 것보다 훨씬 보람차지 않느냐 라고 말을한다.

긍정적인 루프가 형성된다. 정부가 존경받고, 인재들이 정부에서 일하러 가고, 정부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요구받고, (Entrepreneur적인 국민성격은 사라지고 국민은 말잘듣고 organized 됨) 또 다시 private sector보다는 public sector driven development. 


재밌는 루프다. 


앞으로의 르완다 관전 포인트.

1. 르완다는 2003년에 대통령 선거제로 '민주화'되었고, 7년 대통령직 수행에 2010년 크가메가 두번째로 당선되었다. 95% 지지율, 상대 정당은 '종족발언'(후투/투치)을 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있음. 사실상 독재나 마찬가지이고 박정희와 비슷해보인다. (그도 군부출신) 언론통제 등 Freedom 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여기저기 보인다. 가장 훌륭한 정치는 '덕치'라는데 (훌륭한 지도자의 독재) 이 곳의 독재는 어떻게 봐야할까.


2. 어쩌면 당연하게도, 르완다는 싱가폴과 한국의 70년대 발전 모델을 적극 벤치마킹한다. 장관들중에는 싱가폴 INSEAD 에서 공부한 사람도 있었다. 르완다 산골 시골마을에서 "Saemaul Undong" 간판을 볼떄 그 경악감이란. KOICA는 개발도상국에 적극적으로 경제발전 모델을 가르치는 단계에 들어섰다. 한국은 여기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이건 10번에서 쓸려고.. (목차 집착중.. -.- )





이글은 숙제라서 썼다. 내 생각도 정리할 겸 한글로 쓰기 시작했는데 이제 http://mitsloanblog.typepad.com/sustainable_social_impact/ 가서 영어로 써야함-_- 다른 스터디투어 참여한 친구들의 글들도 볼 수 잇음. 꽤 흥미로운 글들이 많으니 관심있으신분은 읽어보시는 것도 . :-)



http://www.economist.com/node/21548263

이건 Rwanda: Singapore of Africa? 라는 Economist 기사. 잘 정리되어있다.









posted by moment210